청년도약계좌 조건, 신청방법, 신청기간 :: 정보도우미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청년도약계좌 조건, 신청방법, 신청기간
    경제 2023. 6. 23. 18:42
    반응형

    청년의 중장기 자산을 모을 수 있게 지원하는 청년도약계좌가 2023년 6월 15일부터 가입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젊은 세대에게 힘을 실어주고 지원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청년 도약 계정 프로그램을 도입했습니다. 그래서 청년도약계좌의 조건, 신청 방법 및 신청 기간을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가입자가 매월 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여 만기 5년을 채우면 납입금액에 비례하여 은행 이자와 정부 보조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아 최대 5,000만 원 가량의 자산을 모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에는 6월 15일부터 6월 23일까지 가입신청이 가능합니다. 7월에도 신청을 받을 예정인데 7월 3일에서 7월 14일이 될 예정입니다. 신청 가능한 은행은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국민, 부산, 광주, 전북, 경남, 대구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고 SC 제일은행도 2024년 1월부터 운영한다고 합니다. 은행 금리는 우대와 소득 금리 합쳐서 최대 6%로 모든 은행이 동일합니다.

    은행 기본금리 소득우대 우대금리 총계
    농협 4.5% 0.5% 최대 1% 6%
    신한 4.5% 0.5% 최대 1% 6%
    우리 4.5% 0.5% 최대 1% 6%
    하나 4.5% 0.5% 최대 1% 6%
    IBK기업 4.5% 0.5% 최대 1% 6%
    국민 4.5% 0.5% 최대 1% 6%
    대구 4% 0.5% 최대 1.5% 6%
    부산 4% 0.5% 최대 1.5% 6%
    광주 3.8% 0.5% 최대 1.7% 6%
    전북 3.8% 0.5% 최대 1.7% 6%
    경남 4% 0.5% 최대 1.5% 6%

    우대금리는 은행, 항목별로 다르기 때문에 세부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은행 세부항목
    급여이체 마케팅동의 자동이체 카드실적 최초거래 주택청약 기타 최대
    농협 0.5% 0.2%   0.2% 0.1%   0.1% 1%
    신한 0.3%     0.3% 0.4%     1%
    우리 1% 유지 유지 0.5% 0.5%     1%
    하나 0.6% 0.1%   0.2% 0.1%     1%
    IBK기업 0.5% 0.1% 0.2% 0.2% 0.3%     1%
    국민 0.6%   0.3%     0.1% 0.1% 1%
    대구   0.3% 0.7%     0.5%   1.5%
    부산 0.5%     0.5% 0.5%     1.5%
    광주 0.5%     0.5% 0.5%   0.2% 1.7%
    전북 0.7% 0.2% 0.3% 0.5%       1.7%
    경남 0.7%       0.4% 0.4%   1.5%

    정부기여금 지급구조는 수입에 따라 달라집니다.

    개인소득 본인 납입한도(월) 기여금 지급한도(월)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월)
    총급여 기준 종합소득 기준
    2,400만원 이하 1,600만원 이하 70만원 40만원 6% 2.4만 원
    3,600만원 이하 2,600만원 이하 50만원 4.6% 2.3만 원
    4,800만원 이하 3,600만원 이하 60만원 3.7% 2.2만 원
    6,000만원 이하 4,800만원 이하 70만원 3% 2.1만 원
    7,500만원 이하 6,300만원 이하 - - -

    청년도약계좌 자격 조건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기 전에 필요한 자격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나이 : 가입일 기준 만 19세 ~ 34세
    • 직전 과세기간 총 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
    • 직전 과세기간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금액이 6,300만 원 이하
    •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
    • 가입 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아닌 경우

    2023년 중위소득 (세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7인 가구
    100% 2,077,892 3,456,155 4,434,816 5,400,964 6,330,688 7,227,981 8,107,515
    150% 3,116,838 5,184,233 6,652,224 8,101,446 9,496,032 10,841,972 12,161,273
    160% 3,324,627 5,529,848 7,095,706 8,641,542 10,129,101 11,564,770 12,972,024
    170% 3,532,416 5,875,464 7,539,187 9,181,639 10,762,170 12,287,568 13,782,776
    180% 3,740,206 6,221,079 7,982,669 9,721,735 11,395,238 13,010,366 14,593,527
    190% 3,947,995 6,566,695 8,426,150 10,261,832 12,028,307 13,733,164 15,404,279
    200% 4,155,784 6,912,310 8,869,632 10,801,928 12,661,376 14,455,962 16,215,030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6월 15일 오전 9시에 앞에 알려드린 11개 은행 앱을 통해서 비대면으로 신청 접수를 합니다. 앱에서 연령 조건과 금융소득종합과세자 해당 여부 등을 신청 시 바로 확인이 가능하고 개인소득, 가구 소득 요건은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비대면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가구 소득 요건 확인은 주민등록등본을 기준으로 가구원을 판단한 이후 가입자과 가구원의 소득조회 동의가 있어야 확인이 됩니다. 가입이 가능하다고 안내받은 신청자는 은행을 선택해 7월 10 ~ 21일 중 계좌개설이 진행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 프로그램은 청년 개인에게 미래를 위한 튼튼한 재정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조건, 신청 방법 및 신청 기간을 이해하면 이 유익한 프로그램을 신청하는 데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를 사용하면 성공적이고 안전한 미래로 가는 길을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재정적 지원과 지침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